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

한국 야구의 WAR, 제대로 이해하고 계산하는 법 야구 통계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지표가 바로 WAR(Win Above Replacement)입니다. 하지만 이 개념은 미국 MLB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KBO 리그에서의 WAR 해석은 조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WAR의 기본 개념부터 계산 방식, 그리고 한국 프로야구에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쉽게 설명합니다.WAR의 기본 개념과 계산 원리WAR은 “대체 가능한 선수(Replacement Player)” 대비 팀의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수치로 나타내는 통계 지표입니다. 즉, 한 선수가 부상이나 이탈로 빠졌을 때, 그 자리를 대체 선수가 메꿨다고 가정했을 때 그 차이만큼 승리를 가져다주는 능력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타자의 WAR은 공격력(타격 지표), 수비력(포지션별 가중치), .. 2025. 10. 17.
세이버메트릭스의 한계, 숫자로 다 설명할 수 있을까 야구는 ‘통계의 스포츠’라고 불리지만, 모든 것을 숫자로 정의할 수 있을까요?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는 현대 야구를 바꾼 혁신적인 분석 방식이지만, 동시에 ‘야구의 본질을 너무 수학적으로만 본다’ 는 비판도 받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이버메트릭스의 개념과 역할을 살펴보고, 그 한계와 놓치고 있는 요소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봅니다.세이버메트릭스란 무엇인가: 야구를 데이터로 해석하는 혁명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는 미국의 야구 통계학자 빌 제임스(Bill James)가 1970년대에 제안한 개념으로, 야구를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 분석으로 이해하려는 접근입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지표(타율, 타점, 방어율 등)가 단순히 결과 중심이었다면, 세이버메트릭스는 경기의 ‘과정’을 수치화.. 2025. 10. 17.
KBO vs MLB, 야구 지표 해석의 차이점 야구 통계는 전 세계 어디서나 사용되지만, 리그별 해석과 활용 방식은 다릅니다. 한국의 KBO 리그와 미국의 MLB는 경기 환경, 선수 스타일, 데이터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같은 지표라도 의미와 활용도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KBO와 MLB의 대표적인 야구 지표들을 비교하며, 왜 같은 수치가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KBO의 전통 지표 중심 문화와 그 배경한국 프로야구(KBO)는 오랜 시간 동안 타율, 타점, 홈런, 방어율, 세이브 같은 전통 지표 중심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이는 야구 팬층이 통계적 분석보다는 경기의 ‘결과’와 ‘드라마’를 중시해온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깊습니다. KBO는 구장 크기가 작고 타고투저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전통 지표만으로도 팀 성.. 2025. 10. 17.
전통 야구 지표 vs 현대 야구 지표, 무엇이 더 정확할까 야구는 오랜 역사 속에서 수많은 기록과 통계가 발전해 온 스포츠입니다. 과거에는 타율, 방어율, 홈런 수 같은 단순한 수치가 선수 평가의 전부였다면, 현대 야구에서는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 기반의 복잡한 지표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통적인 지표와 현대적인 지표 중, 어떤 것이 더 정확하게 선수의 실력을 반영할까요? 이 글에서는 두 체계의 차이와 한계를 비교 분석하며, 야구 팬과 분석가가 함께 이해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전통 야구 지표의 장점과 한계야구에서 가장 오래된 통계 지표는 타율(AVG), 방어율(ERA), 타점(RBI), 승수(Wins) 등입니다. 이 수치들은 간단하고 직관적이기 때문에 누구나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타율이 높으면 ‘좋은 타자’,.. 2025. 10. 17.
야구팬이라면 알아야 할 승률 지표 완전정리 야구는 단순히 득점과 실점으로만 결정되는 게임이 아닙니다. 그 뒤에는 팀의 전력, 효율성, 운, 그리고 데이터가 숨어 있습니다. 팀의 경쟁력을 판단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승률’이지만, 단순한 승률만으로는 진짜 실력을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야구팬이라면 꼭 알아야 할 승률 관련 핵심 지표들 — Pythagorean Win, Win Probability Added(WPA), Run Differential 등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활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기본 승률과 파이타고리안 기대승률의 차이야구에서 승률(Winning Percentage) 은 가장 기본적인 팀 성적 지표입니다. 팀이 이긴 경기 수를 전체 경기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며, 보통 0.500을 기준으로 강팀과.. 2025. 10. 17.
야구 스카우팅 리포트에 쓰이는 핵심 지표 완전 분석 야구 스카우팅 리포트는 단순히 선수의 타율이나 방어율만 기록하는 문서가 아닙니다. 현대 야구에서는 세이버메트릭스 기반의 수많은 통계 지표가 스카우팅의 핵심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투수, 타자, 수비수 각각의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들을 분석하고, 실제 프로 스카우터들이 어떤 기준으로 유망주를 평가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투수 스카우팅 핵심 지표: ERA, FIP, K/9의 분석투수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는 여전히 ERA(평균자책점) 이지만, 스카우터들은 ERA 하나만으로 선수의 가치를 판단하지 않습니다. ERA는 수비력이나 운에 따라 크게 변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스카우팅 리포트에서는 FIP(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지표가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FIP.. 2025. 10. 17.
투수의 ERA부터 타자의 WAR까지, 야구 통계 마스터 야구는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라 수많은 통계와 지표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세계입니다. ERA, WHIP, WAR, OPS 등은 선수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지표들입니다. 이 글에서는 투수와 타자를 평가하는 주요 통계 지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경기와 선수 분석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투수의 핵심 지표: ERA, FIP, WHIP의 의미투수의 성적을 평가할 때 가장 먼저 언급되는 지표는 ERA(평균자책점) 입니다. ERA는 투수가 9이닝 동안 몇 점을 내줬는지를 나타내며, 낮을수록 좋은 성적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ERA는 수비력이나 운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FIP(Fielding Independent Pit.. 2025.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