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통계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지표가 바로 WAR(Win Above Replacement)입니다. 하지만 이 개념은 미국 MLB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KBO 리그에서의 WAR 해석은 조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WAR의 기본 개념부터 계산 방식, 그리고 한국 프로야구에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쉽게 설명합니다.

WAR의 기본 개념과 계산 원리
WAR은 “대체 가능한 선수(Replacement Player)” 대비 팀의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수치로 나타내는 통계 지표입니다. 즉, 한 선수가 부상이나 이탈로 빠졌을 때, 그 자리를 대체 선수가 메꿨다고 가정했을 때 그 차이만큼 승리를 가져다주는 능력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타자의 WAR은 공격력(타격 지표), 수비력(포지션별 가중치), 주루 기여도, 투수의 WAR은 투구 이닝, 실점 억제 능력(FIP나 ERA 기반), 리그 평균 대비 효율성 등을 반영해 산출됩니다. WAR 계산의 핵심은 선수의 실제 기록을 리그 평균과 비교하고, 포지션별 난이도를 보정한 뒤, 대체 선수 수준의 기대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승수 단위로 환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WAR 5.0이라면, 그 선수는 ‘평범한 대체 선수보다 약 5승 정도 팀에 더 기여했다’는 의미입니다. WAR이 높을수록 팀 내 영향력과 시장 가치가 커지며, MLB에서는 연봉 협상의 핵심 지표로도 쓰입니다.
KBO에서 WAR이 갖는 의미와 한계
WAR은 MLB 환경을 기준으로 개발된 지표이기 때문에 KBO에서는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첫째, 리그 수준의 차이로 인해 타자의 WAR은 과대평가되고 투수의 WAR은 낮게 계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수비 데이터의 불완전성입니다. KBO는 Statcast 같은 첨단 장비가 부족해 수비 범위나 반응 속도 데이터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셋째, 대체 선수 수준의 정의가 다릅니다. MLB는 마이너리그 시스템 덕분에 기준이 명확하지만, KBO는 1군과 2군의 수준 차가 커 일관성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WAR 수치는 MLB처럼 절대적인 지표로 쓰기 어렵지만, 선수의 전반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는 여전히 유용합니다.
WAR 활용법: 팬과 구단이 알아야 할 올바른 해석법
WAR은 단순히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선수라는 뜻이 아닙니다. 상대적 가치와 맥락을 함께 봐야 합니다. 첫째, 리그 평균과 비교해야 합니다. KBO에서 WAR 6.0 이상은 MVP급 성적에 해당합니다. 둘째, 포지션별 난이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유격수나 포수는 수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 같은 타격 성적이라도 WAR이 더 높게 계산됩니다. 셋째, 팀 내 역할과 조합을 고려해야 합니다. WAR은 개별 평가에는 유용하지만, 클러치 능력이나 리더십 같은 요소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WAR은 기초 자료로 사용하되, 감독의 경험적 판단이 함께 보완되어야 합니다. KBO 구단들은 WAR을 연봉 협상, 트레이드 가치 평가, FA 계약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팬들도 WAR을 이해함으로써 더 깊이 있는 관점으로 선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WAR은 야구 통계의 정점이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진리는 아닙니다. 특히 KBO에서는 데이터 환경과 리그 구조의 차이로 인해 완벽히 객관적인 수치가 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WAR을 이해하고 해석할 줄 안다면 우리는 선수의 가치를 더 균형 있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숫자 그 자체보다, 그 숫자가 담고 있는 맥락을 읽는 능력입니다.